본문 바로가기
Small Biz Notes

📌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가이드 (개인사업자·프리랜서 필독)

by KnowBetter 2025. 5. 12.
반응형

종합소득세 신고 안내 이미지

📝 매년 5월, 나도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일까?

매년 5월이 되면 많은 개인사업자, 프리랜서, 그리고 임대소득이 있는 분들은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.
그런데 처음 신고를 하거나 간이과세자로 등록된 분들은 헷갈릴 수밖에 없죠.

“나는 꼭 신고해야 하는 걸까?”
“홈택스에서 어디서 신고하지?”
“어떤 자료가 필요하지?”

이번 글에서는 이런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부터 홈택스 신고 방법, 주의할 점까지 모두 정리해드립니다.


💼 종합소득세란?

종합소득세는 개인이 전년도(2024년 귀속)의 다양한 소득을 합산해서 신고하고 납부하는 세금입니다.

📌 과세 대상 소득 종류

  • 사업소득 (개인사업자, 자영업자)
  • 근로소득 (2곳 이상 근무자, 연말정산 누락자)
  • 기타소득 (원고료, 강의료 등)
  • 이자소득, 배당소득, 연금소득
  • 주택임대소득 (월세 등)
  • 프리랜서·플랫폼 노동자 소득

👉 여러 소득을 합산해서 하나의 신고서로 제출합니다.


👤 누가 신고해야 하나요?

다음에 해당하면 반드시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합니다.

  • 작년(2024년) 중 사업자등록을 한 개인사업자 (간이·일반 모두 포함)
  • 프리랜서, 플랫폼노동 종사자 (배달, 강사, 유튜버 등)
  • 월세 등 임대소득자 (2주택 이상이거나 연간 200만원 초과)
  • 종합소득 금액이 있는 기타 소득자

📌 직장인도 예외 아님!

  • 2곳 이상 근무한 직장인
  • 연말정산 누락 항목이 있는 경우
  • 근로소득 외에 다른 소득이 있는 경우는 신고 대상입니다.

📅 신고 및 납부 기간

구분 기간
신고 기간 5월 1일 ~ 5월 31일
납부 기한 6월 30일 (무이자 분할 가능)
※ 신고만 하고 납부를 안 하면 가산세가 붙습니다.

🖥 홈택스에서 종합소득세 신고하는 방법

국세청 홈택스를 이용하면 집에서도 쉽게 전자신고가 가능합니다.

💡 준비물

  •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
  • 종합소득 내역 (홈택스에 자동 불러오기 가능)
  • 필요경비 자료 (영수증, 카드내역 등)

💻 신고 절차

  1. 홈택스 접속
  2. [종합소득세 신고] 메뉴 클릭
  3. ‘정기신고’ 또는 ‘모의작성’ 선택
  4. 자동 불러온 소득 내역 확인 및 수정
  5. 필요 경비 추가 또는 누락 소득 입력
  6. 세액 계산 → 신고서 제출
  7. 납부 방법 선택 후 납부

📌 간편장부 대상자는 자동으로 단순 계산이 되며, 복식장부 대상자는 증빙이 더 필요합니다.


⚠️ 자주 하는 실수 & 주의사항

  1. 매출은 있는데 신고 안 한 경우 → 무신고 가산세
  2. 경비 증빙 없이 과도한 비용 처리 → 부당공제 간주
  3. 현금영수증·카드내역 누락 → 세무조사 위험
  4. 전자신고만 하고 납부 안 한 경우 → 미납 가산세 발생

✅ 신고 후 반드시 납부까지 마쳐야 진짜 '끝'입니다.

 


📢 그.러.나 신고만으로 끝이 아닙니다!

많은 분들이 홈택스에서 종합소득세를 신고하고 나면 모든 절차가 끝났다고 착각하십니다.
하지만 이건 국세만 낸 것이고, 지방세인 ‘지방소득세’는 따로 납부해야 합니다.

👉 지방소득세는 종합소득세의 10% 수준이며,
👉 위택스(wetax.go.kr) 에서 따로 납부해야 합니다.

💡 이 부분은 다음 글에서 자세히 알려드릴게요. 놓치면 가산세까지 생깁니다!


✅ 5월에는 종합소득세 신고부터 차근차근!

5월 한 달 동안은 누구나 바쁘고 정신없지만, 종합소득세 신고는 미루면 더 복잡해집니다.
홈택스에서 준비된 자료를 활용하면 생각보다 수월하게 신고할 수 있어요.

그리고 잊지 마세요!
납부까지 마쳐야 완료
지방소득세는 따로 납부 ← 이건 2편에서 안내해드릴게요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