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전체 글113

외국인 계좌 개설, 송금 방법 (How to Open a Bank Account & Send Money in Korea) ✅ 한국에서 외국인이 계좌를 개설하려면?한국에서 외국인이 은행 계좌를 개설하려면 일정한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 외국인등록증이 기본적으로 필요하며, 체류 자격에 따라 계좌의 기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. 🧾 기본 준비 서류외국인등록증 (Alien Registration Card)여권 (Passport)한국 내 전화번호거주지 확인 서류 (임대차계약서 등)🏦 계좌 개설 가능한 주요 은행은행명영문 지원외국인 계좌 개설 가능모바일뱅킹 영어 지원신한은행OOO국민은행 (KB)OOO우리은행OO△ (부분 지원)하나은행OOO💸 해외 송금 방법계좌를 개설한 후, 해외로 송금하거나 본국에서 송금받는 것도 가능합니다. 일반적으로는 아래 방법이 사용됩니다:은행 창구 송금 – 가장 보편적이며 수수료가 다소 있음모바일 뱅킹 송.. 2025. 5. 13.
외국인 유심 구매처, 요금제 비교 (Korea SIM card for foreigners – Where to buy & Best plans) ✅ 한국에서 외국인을 위한 유심 카드, 어디서 어떻게 사야 할까요? 한국을 방문하거나 단기 체류 중인 외국인이라면 가장 먼저 고민해야 하는 것이 ‘통신 수단’입니다. 여행 정보를 검색하거나, 한국에서 길 찾기, 또는 국제전화 등을 위해 유심(SIM) 카드는 필수인데요. 한국은 통신 속도도 빠르고 다양한 요금제가 잘 마련되어 있어서, 목적에 맞게 선택만 잘하면 큰 어려움 없이 사용하실 수 있어요. 📍 외국인 유심카드 구매처 추천 1. 공항 (인천국제공항, 김해공항 등)가장 쉬운 방법입니다. 입국 직후 바로 개통 가능하고, 영어 응대도 잘 되어 편리해요. 단, 가격은 시내보다 다소 높을 수 있습니다. 2. 온라인 예약 & eSIM 발급미리 한국 유심을 예약해두면, 공항에서 빠르게 수령하거나 호텔로 배송받.. 2025. 5. 13.
서울 비건 & 할랄 음식점 추천 리스트 (외국인 전용 가이드)Vegan & Halal Restaurants in Seoul – A Foreigner-Friendly Guide 🥗 Why This Matters 서울을 방문하거나 거주 중인 외국인 중에는비건(Vegan)이나 할랄(Halal) 식단을 지키는 분들이 많습니다.하지만 한국에서는 이런 옵션이 아직 널리 보편화되지 않아믿고 방문할 수 있는 음식점 정보를 미리 아는 게 중요합니다. 📍 외국인 추천 비건 & 할랄 식당 리스트 (2025 최신판) 1. 러빙헛 (Loving Hut) – 광화문점✅ 100% 비건 / 넓은 메뉴🌐 영어 메뉴 있음📍 위치: 광화문역 2번 출구💡 팁: 유럽 여행객들에게 인기 높은 체인 레스토랑 2. 사마드 할랄 푸드 (Samad Halal Food)🥘 파키스탄/인도 요리 전문🕌 이태원 이슬람 사원 근처📍 위치: 이태원역 3번 출구✔️ 현지 무슬림도 자주 찾는 정통 할랄 식당 .. 2025. 5. 13.
💸 프리랜서 3.3% 원천징수 환급받는 법(쉽게 따라하기) 📝 3.3% 떼인 세금, 돌려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?프리랜서로 일하면서 매번 3.3% 떼인 세금을 보며“이건 그냥 내야 되는 거지…”라고 생각하셨나요?✅ 아닙니다.3.3%는 ‘원천징수’일 뿐, ‘확정된 세금’이 아닙니다.신고만 잘하면 돌려받을 수 있어요!오늘은 프리랜서가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홈택스를 통해 3.3% 원천징수 세금을 환급받는 방법을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.✅ 3.3% 원천징수란?프리랜서가 일을 하고 받은 수입에서지급자가 세금을 먼저 떼고 국세청에 납부하는 제도입니다.📌 예시100만 원 강의료 → 96만 7천 원 입금3만 3천 원은 원천징수세액 (소득세 3% + 지방소득세 0.3%)이 세금은 ‘예상 소득’ 기준으로 떼는 거라,실제 세금보다 많이 낸 경우엔 환급, 적게 낸.. 2025. 5. 13.
💼 간이과세자 vs 일반과세자 차이 완벽 정리 (사업자 필수 정보) 📝 사업자 등록 전에 꼭 알아야 할 세금 구분개인사업을 시작하거나 프리랜서로 일하다 보면처음 마주하게 되는 고민 중 하나가 바로 이겁니다:“나는 간이과세자일까? 일반과세자일까?”“둘 중 뭐가 유리할까?”“나중에 세금 많이 나오는 건 아닐까?”이 글에서는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의 정확한 차이점과선택 시 고려해야 할 기준, 세금 영향, 장단점까지 모두 정리해드릴게요.📌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란?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는 부가가치세 신고 방식에 따라 나뉘는 사업자 유형입니다.항목간이과세자일반과세자기준 매출액연 매출 8,000만 원 미만연 매출 8,000만 원 이상세금 신고연 1회 (1월)연 2회 (1월, 7월)세금 계산서 발행불가 (세금계산서 못 발급)가능세액 공제거의 없음매입세액 공제 가능부가세 납부낮은 .. 2025. 5. 12.
📢 종합소득세 끝났다고 끝 아님! ‘지방소득세’ 꼭 따로 납부하세요 📝 지방소득세는 별도로 납부해야 합니다종합소득세 신고, 홈택스에서 잘 마치셨나요?그렇다면 이제 끝났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. 하지만…!❗지방소득세는 홈택스에서 신고해도 자동 납부되지 않습니다.별도로 위택스(wetax.go.kr)에서 납부해야 합니다.매년 수많은 분들이 이걸 모르고 있다가 가산세 폭탄을 맞기도 합니다.이번 글에서는 지방소득세의 개념부터, 위택스를 통한 납부 방법,그리고 자주 하는 실수까지 모두 정리해드립니다.🧾 지방소득세란?국세(종합소득세)의 10% 수준을 지자체에 납부하는 세금입니다.신고는 홈택스에서 할 수 있지만, 납부는 위택스에서 따로 해야 합니다.쉽게 말해, 종합소득세는 나라에 내는 세금이고,지방소득세는 내가 사는 지역(시·군·구)에 내는 세금입니다.🖥 지방소득세 납부 방법.. 2025. 5. 12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