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Small Biz Notes

비포괄 전환되면 야근수당 더 받는다?

by KnowBetter 2025. 7. 3.
반응형

직장인이 꼭 알아야 할 변화

2025년, 이재명 정부가 공식적으로 비포괄임금제 전환 추진을 발표하면서 직장인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. 특히 그동안 야근수당도 못 받고 ‘고정 월급’만 받던 직장인들이라면, 이번 정책 변화가 현실 월급에 어떤 영향을 줄지 궁금하실 텐데요.

이번 글에서는 비포괄임금제가 도입되면 직장인 실생활에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, 내 월급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실제적인 시각에서 설명드릴게요.

정부의 포괄 임금 손보기에 대한 이미지


✅ 포괄임금제, 비포괄임금제 뭐가 다르길래?

구분 포괄임금제 비포괄임금제
근로시간 외 수당 기본급에 포함 (포괄 계산) 별도 계산 (실제 근로시간 기준)
야근/주말수당 명확하지 않음 의무 지급 대상
계약서 표기 근로시간 명시 없이 '연봉' 중심 근로시간, 수당 명확히 구분
근로자 보호 상대적으로 불리 법 기준에 충실
 

즉, 포괄임금제는 모든 걸 '연봉에 포함'해버리기 때문에 추가 근로에 대한 정산이 애매한 구조입니다. 반면 비포괄임금제는 일한 만큼 수당을 받는 구조이죠.


💡 “비포괄로 바뀌면 진짜 월급이 늘어날까요?”

많은 직장인들이 묻습니다.
“야근은 똑같이 하는데, 비포괄로 바뀐다고 실제 월급이 느나요?

정답은 “경우에 따라 달라지지만, 대체로 늘어납니다.”

예시: 연봉 3,600만 원 사무직 기준

  • 포괄임금제: 연봉에 야근수당 포함 → 매달 300만 원 정액 지급
  • 비포괄임금제: 기본급 + 실 근로시간별 연장근로수당 지급
    → 매달 기본급 270만 원 + 야근수당 30만 원 → 합계 300만 원 이상도 가능

비포괄은 야근, 주말 근무가 많을수록 실수령액이 증가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.
반면 야근 없는 경우에는 큰 차이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.


🔍 이재명 정부, 왜 비포괄임금제로 전환하려는 걸까?

이재명 정부는 “공짜 노동”을 줄이기 위해 이 제도를 추진하고 있습니다.
실제로 포괄임금제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죠.

  • ✅ 야근·휴일근무를 해도 **추가 수당 없이 ‘월급에 포함’**된다는 명목
  • ✅ 회사 입장에선 관리가 쉬워도, 근로자는 실제 일한 시간만큼 보상 못 받는 구조
  • ✅ 일부 사업장은 이를 악용해 근로시간을 무제한 늘리는 사례도 다수

이러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, 정부는 공공기관·대기업부터 비포괄 전환을 유도하고, 민간에도 가이드라인을 확산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.


📌 직장인 입장에서 꼭 알아야 할 변화

비포괄임금제가 추진되면 우리 실생활에 어떤 변화가 생길까요?

1. 계약서가 바뀐다

앞으로는 근로계약서에 기본급, 연장수당, 야간수당이 따로 명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.
이 말은 즉, 수당 누락 시 법적 대응 근거가 생긴다는 뜻입니다.

2. 실 근로시간 기록이 중요해진다

회사와 분쟁이 생길 경우를 대비해 출퇴근 시간 기록, 메신저 로그, 캘린더 등을 꼼꼼히 보관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.

3. 기업 측 반발도 예상된다

일부 기업은 비포괄 전환 시, 인건비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.
이에 따라 연봉 자체를 조정하거나, 야근 자체를 줄이는 방향으로 바뀔 수 있습니다.


💬 내 상황은 어떨까? 체크리스트

🔲 근로계약서에 ‘야근수당 포함’이라는 문구가 있나요?
🔲 야근/주말근무를 해도 고정급 외 추가 수당이 없나요?
🔲 출퇴근 시간 기록을 직접 남기고 있나요?
🔲 비포괄 전환 시 근로시간 정산 방식이 궁금하신가요?

해당 항목 중 2개 이상 해당된다면, 이번 정책 변화에 더 주목하셔야 합니다.


✍️  '그냥 지나가는 뉴스'가 아닙니다

이번 비포괄임금제 전환 정책은 단순한 행정 변화가 아닙니다.
직장인의 월급명세서, 근로계약서, 생활패턴까지 바꿀 수 있는 실질적인 변화입니다.
그동안 당연하게 여겼던 포괄임금제가 불합리했다는 걸 정부가 인정한 셈이기도 하죠.

앞으로 내가 일한 만큼 제대로 보상받는 근로 환경을 만들기 위해,
이제는 ‘어떻게’ 일하느냐보다도 ‘어떻게 정산받느냐’가 더 중요해지는 시대입니다.
지금부터라도 내 계약서와 급여 체계를 다시 한번 점검해보세요!

반응형